3·1운동 및 관동대지진 朝鮮人 사망자 수
필자 : 펀드빌터.
출처 : https://www.chogabje.com/board/column/view.asp?C_IDX=91384&C_CC=BC
3·1운동 사망자 數:조선총독부 553명, 국사편찬위원회 725명~934명(중간값 830명), 문재인 대통령 7500명→7600명.
문재인 대통령의 2019년 3·1절 기념사 중에는 이런 부분이 나온다. ‘7500여 명의 조선인이 살해됐고 1만6000여 명이 부상당했습니다.’ 2020년 기념사는 이렇다. ’7600여 명이 사망했고 1만6000여 명이 부상했으며 4만6000여 명이 체포 구금되었습니다.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일이었습니다.’
일 년 사이에 사망자가 100명 늘었다(7500명→7600명). 3·1운동 사망자 수(數)는 조선총독부 공식 기록으로 ‘553명’이다. 당시 공식 기록과 오늘날 대통령이 언급한 수치 間에 차이가 14倍나 된다. 조선총독부가 실제보다 대폭 축소(縮小)해 집계했거나, 대통령이 실제보다 대폭 부풀렸거나, 둘 중 하나다.
이런 경우, 객관적 제3자(제3국)가 면밀하게 연구하여 어느 쪽 주장이 맞는지 판정 내려주면 공평하다. 하지만, 사안의 성격상 그런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런데, 韓國 정부(교육부) 산하의 ‘국사편찬위원회’가, 당시 朝鮮人 사망자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연구에 착수했고 2019년 2월에, '3·1운동으로 인한 사망자 數는 725명~934명’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일종의 교통정리를 한 셈이다. 단(單)단위 數字까지 특정한 것으로 보아, 객관적 사료 등을 토대로 나름 파헤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국사편찬위원회의 결론은 '팩트'에 근접한 것으로 인정하는 데 무리가 없어 보인다. 중간 값은 ‘830명’이다(=725명+934명/2). 그렇다면, 조선총독부 집계 ‘553명’은, ‘830명’에 비해 33%쯤 축소한 수치가 된다. 대통령이 공식 언급한 ‘7500명' 혹은 '7600명’의 경우, ‘830명’에 비하면, 9倍나 부풀린 수치가 된다. 누가 봐도, 조선총독부 집계가 상대적으로 팩트에 가깝다.
문제는, 정부 산하 기관인 국사편찬위원회가 2019년 2월에 이미 교통정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나라를 대표하는 대통령이 시중에 떠도는 설(說) 수준의 과장된 수치를 여전히 고집했다는 점이다. 대통령부터가 팩트에는 관심 없고, 이런 式의 과장(誇張)이나 선동(煽動)에만 열 올리고 있으니, 外交 등 각 분야가 온전치 못한 것도 무리는 아니다.
대통령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일’이라고도 언급했다. 그런데, 이 말은 맞는 것 같다. 왜냐하면, 항거하는 식민지 사람들을,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서구열강들의 경우, 아주 잔인하게 ‘수십만 명’ 정도는 눈 하나 깜짝 안하고 대량 학살한 것 비하면, 일본의 이 정도는, 보는 시각에 따라, ‘세계적으로 유례 없는 일’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東亞日報 2021년 2월15일字 <조선인이 후쿠시마 우물에 독을…>이라는 記事에는 이런 부분이 나온다.
'1923년 일본 간토대지진 당시 "재일조선인(또는 중국인)이 폭도로 돌변해 우물에 독을 풀고 방화·약탈을 하며 일본인을 습격하고 있다"라는 유언비어가 나돌면서 일본 민간인들이 자경단을 조직해 6000여 명에 이르는 재일조선인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했다.'
記事는 6000여 명이 학살됐다고 단정했지만, 팩트가 아니다. 시중에는 '3000명을 학살’, ‘朝鮮人 및 日本人 社會主義者 6661명을 학살’, 심지어는 ‘2만3000명을 학살’했다는 式으로 떠돈다. 관동대지진 관련 記事를 쓸 때 韓國 언론들은 대부분, '6000명 학살'설(說)을 신봉하는 것 같다. 그런데, 관동대지진 때 피살된 朝鮮人 수(數)를 이미 韓國 정부가 파악해놓은 상태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다.
1952년 12월, 제109회 국무회의에서 이승만 대통령 지시로, 내무부에서 전국적 조사를 통해 ‘日本 진재시(震災時) 피살자 명부’라는 것을 작성했는데, 이때 파악된 朝鮮人 피살자는 '290명'이었다. 그리고 2015년에 국무총리 산하 ‘對日항쟁기 강제동원피해 조사위원회’라는 곳에서 이들 290명에 대한 최종 신원확인 절차를 진행했는데, 이 중 40명의 신원이 확인되었다. 反日 성향이 매우 강했던 이승만 대통령 때 파악한 피해 규모조차 '290명' 수준인 만큼, 오늘날 거론되는 ‘6000명’설(說) 등은 反日 차원에서 만들어진 부풀리기에 불과하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당시 피살된 사람 중에는 朝鮮人뿐 아니라 左派 日本人들도 있을 수 있다.
이 밖에, 청산리 전투의 전과(戰果)를 놓고도 韓國側은 '일본군 3300명 살상'이라고 주장하는데 반해, 日本側은 자료를 바탕으로 '일본군 11명 전사, 24명 부상, 敵(김좌진) 전사 130명, 부상 90명 以上, 도망자 200여 명'이라고 반박한다. 日本軍 사상자 수(數)에 있어 90倍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이다(韓國 주장 3300명 vs. 日本 주장 35명).
명량해전의 경우 더욱 심하다. 韓國側은 '왜군 배 31척 침몰, 92척 대파, 왜군 8000여 명 전사'라고 주장하는 데 반해, 日本側은 자료를 바탕으로 '당시 동원된 일본 배는 수십 척 수준으로, 아무리 많게 잡아도 130척 미만이며, 선봉에 섰던 배 몇 척이 침몰하고 수십 명 전사한 것이 피해의 전부이고, 제해권(制海權)이 조선으로 넘어간 경우는 全無'라고 반박한다.
아무리 상대방이 미워도, 팩트에 기반하지 않은 주장을 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거짓은 오래가지 못하는 법이다. 제3자(전세계)들도 언젠가는 ‘눈치 채는 날’이 반드시 올 것이다. 근거도 없이, '3·1운동 7500명 학살', '관동대지진 6000명 학살' 등을 언급하고 보도한, 대통령이나 韓國 언론들은 그렇다면 그때 느끼게 될 부끄러움을 감당할 준비는 되어 있나?
**** 관동대지진 당시 日本 언론 보도
관동대지진(1923년 9월1일 오전 11시58분) 발생 이후, 日本 언론 보도(제목, 부제 등)
"지진 혼란에 편승해 朝鮮人들이 행한 兇暴. 약탈, 방화. 그 중에는 부녀자 능욕도…일반 조선인은 무관"-요미우리 신문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朝鮮人이 放火"-新愛知新聞
"主義者(사회주의자)와 朝鮮人이 한편이 되어, 上水道에 毒을 살포. 경계 중이던 군대가 발견하여 發砲" -下越新報
"수상한 朝鮮人 각처 방화. 帝都에 계엄령 선포" -東京日日新聞 (現.마이니치 신문)-
"朝鮮人 200 명 칼 뽑아들고 각처에서 난도질. 警官隊와 충돌" - 東京日日新聞
"3일 아침, 두 명의 朝鮮人이 독약을 우물에 투하하려는 현장을 경계원이 발견하여 즉시 체포"- 東京日日新聞
"불순한 朝鮮人 1千 명을 상대로 요코하마에서 전투개시. 보병 1개 小隊 전멸? 1개 中隊 추가 파견"--號外, 新愛知新聞-
以後, 日本 정부는, 사태를 그대로 방치하면 朝鮮人 범죄자들과, 이에 맞선 日本人 자경단 간의 대립이 격화되어 內戰 사태로까지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사태진정을 위해, 각 언론사들에게 朝鮮人 범죄에 대한 보도를 더이상 하지 못하도록 지침 하달. 아울러 日本 정부는 각 언론 매체를 통해, '일본 내무성 告知文'을 일제히 보도하도록 조치('고토 신페이' 內務大臣 주도).
<일본 내무성 告知文>
- 선량한 朝鮮人을 사랑할 것. 선량한 朝鮮人을 적대시하면 안됨
- 경찰력과 병력이 충분하므로 신뢰하고 안심할 것
- 각지에서 무기를 소지하고 자체방어할 필요성 없음
- 자의적으로 무기를 소지하는 것은 계엄사령관의 명령에 위배되는 것임
以後로, 사태를 진정시키려는 日本 정부에 의해, 선량한 朝鮮人의 피해 등을 주로 부각시키도록 언론에 지침 하달하여 이에 부응하는 기사들이 등장.
"朝鮮人이 소지했다는 폭탄, 어이없는 유언비어. 사실은 폭탄이 아니라 과일" -東京日日新聞
"朝鮮人 자치단체가 무상으로 도로복구 공사. 오해 풀기 위한 노력"-東京日日新聞
"朝鮮人의 도움을 받은 老婆. 연락처 없이 사라진 생명의 은인 朝鮮人"-東京日日新聞
'근현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도연맹원과 종북분자들의 망동 (0) | 2021.07.28 |
---|---|
38선 분단 경위 (0) | 2021.07.08 |
4.3사건-박근혜 정부는 좌익 폭도들 앞에 머리 숙일 것인가 (0) | 2021.03.09 |
백선엽, 김백일 장군 (0) | 2021.02.21 |
돈, 돈, 돈 - 위안부와 징용노동자 (0) | 2021.01.18 |